SoftwareDo/Java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[Console] 전략 (Strategy) 패턴 오늘, 탬플릿 패턴과 함께 배운 전략 패턴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 전략 패턴은, 유사한 구조, 맥락(Context)을 가지는 여러개의 기능이 있을떄, 이 유사한 부분의 중복을 방지하기위한 방법입니다. 1. 전략 패턴? 여러개의 전략을 만들고, 그 전략을 상황에 맞추어 교체 하는 방식 이라고 할까요, 실제 코딩으로 보자면 이러한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. Client (main) 이 보통 다른 클래스인 Context (실제 맥락,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클래스) 의 메소드를 사용 합니다. 그런데 사용 할 때. 전략들을 객체화 하는 등, 만들어 주고 그 전략을 매개변수로써 넘겨줍니다. 그러면, context 에서 공통적인 부분을 처리 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들은 매개변수로 받은 전략을 통하여 처리를 합니다. 이.. [스타봇] BW API로 알아보는 자바 - 1 (메인문과 처음에 SCV 생성하기) 분명 끝까지 다 적었었는데 게시판 설명글을 먼저 올린다고 임시저장 해놨다가 날라갔네요.. ㅠ 처음 때보다 내용을 더 보충해서 기록 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..! C#의 경우에는 1년쯤 배워서 상당히 자신감이 있는데, 자바의 경우에는 2학기가 되면서부터 배우기 시작하였고 (학교 교과) , 방과후에서는 BW API를 사용한 스타봇 개발을 하고 있으나 일주일에 두시간 이므로,, 초보 개발자의 기록이라고 생각 해주시면 되겠습니다. 제가 잘못 알고 있는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메인코드부터 보시죠. 1 2 3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new MyBotModule().run(); }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메인 클래스에 있는 것 전부입니다.. 저에게 있어서의 자바. + 게시판 설명. 자바를 공부하게 된 계기. (?) 저도 어렸을 때는 마인크래프트도 접해 보았고, 그때부터 자바는 알고 있었습니다. 하지만 자바가 정확히 무엇인지, 프로그래밍 언어가 뭔지 조차 몰랐던 시절이라서 이름만 알고 있었던 시절이라고 생각합니다. 그랬던 제가 자바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게 되었던것은 중학교 3학년 말 가량. 점유율이 높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호환성과 확장성, 범용성 에 강점이 있다는 정도로 알고 있었습니다. 이때도 직접적으로 배우지는 않았습니다. 그랬다가 직접적으로 배우게 된것은 고등학교 진학 후 1학년 2학기.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죠. C를 기본적으로 배웠고 C#도 배웠어서 현재 수업은 잘 따라가고 있습니다. 그리고 방과후로써 스타크래프트 봇 프로그램을 하게 되면서, API.. 이전 1 다음